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Cygwin과 ns2

 
이틀째 Cygwin과 ns2 설치로 씨름을 하구 있다..
교수님이 TCP관련 연구시 돌려볼 시뮬레이터가 필요하다며
설치하라고 하시니까...
첨엔 뭔지도 모르고 무조건 다운받아 설치했다.
한참 걸려 뭐가좀 되었나 싶으면 막히고 막히고

마침 cygwin과 ns2t설치 방법에 대해 친절히 매뉴얼 정리해 올려진 파일이 있어, ]
고것을 보며
차근차근 따라했다.

1.
Cygwin
http://www.cygwin.com/ 에서 다운 받는다
ns2
http://www.isi.edu/nsnam/ns/에서 ns-allinone-2.31.tar.gz를 다운받을수 있다고 하는데
나는
http://prdownloads.sourceforge.net/nsnam/ns-allinone-2.30.tar.gz?download

이곳에서 ns-allinone-2.30.tar.gz를 받았다.
2.31과 2.30 버전이...많이 차이가 날까?

2.
Cygwin의 setup.exe을 실행하여 설치한다.
설치파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세가지 항목이 나와 한가지를 선택하란다

>>Install from Internet : 인터넷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
>>Download Without Installing : 설치하지 않고 설치 파일만 다운로드
>>Install from Local Directory : 전에 다운로드 받아놓은 파일들을 이용하여 설치

나는 첨엔 Install from Internet 했다가
안되니까 결국 세가지 다 해보았다....
그런데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먼저 Download without Installing을 먼저 하여 다운로드 먼저 받고
            그다음 Install from Local Directory 를 하는방법이 괜찮을것 같다.  

3.
경로를 설정하고, 다운받을 사이트를 선택한다.
ftp://ftp.kaist.ac.kr
이 다운로드 속도가 빠르다 하여, 요것을 선택했다.

4.
다운받을 패키지 선택!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하여 다운받으라는데, 나는 잘 몰라서 그냥 All 다운로드 받았다.
일단 잘 모르니까 모두모두 다운로드 ,,,
(다운로드중 경고창이 뜨더라도 설치에는 무방하다고 한다. 나도 다운로드중 경고창이 떴다)


5
한참만에 다운로드 및 설치 완료!

6.
 다운받은 ns2는 c:\cygwin\home\(나의 계정)에 복사한다
 그리고선  cygwin에서 그위치에 압축을 푼다
 tar xvzf ns-allinone-2.30.tar
 요것을 또박또박 입력하여 압축풀고

7.
압축을 푼 후, 생긴 ns2폴더로 이동한다. (cd ns-allinone-2.30)
./install 로 설치한다

8.
설치가 끝나면 환경 설정을 해야한다
/home/나의계정/에가면 .bash_profile 이 있다는데
첨에 바로 찾지 못해 잠깐 헤매였다.
ls -al 하니 .bash_profile이 보인다.
vi로

NS=~/ns-allinone-2.30
export PATH=$PATH:$NS/bin:$NS/tcl-8.4.13/unix:$NS/tk8.4.13/unix
export LD_LIBRARY_PATH=$NS/otcl-1.12:$NS/lib
export TCL_LIBRARY_PATH=$NS/tcl8.4.13/library

요 내용을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때 주의사항!!! tcl, otcl, tk 버전 잘 확인해서!그리고 경로도 잘 확인해서!!!해야한다~~

요렇게까지 힘들게 힘들게 설치를 끝마쳤는데!!
cygwin에서 startx를 실행이 안된다....ㅠㅠ
startx를 실행하면 XWindow창이 떠야한다고한다..
뜨는 오류메세지를 검색해보아도 답이 안나온다.
Cygwin설치과정에서 무언가가 빠뜨려졌나 싶어
다시 처음부터 Cygwin 설치를 하고 있다..
엄청 오래걸리넹~~



기다리는 동안 Cygwin과 ns2에 대해 좀 알아보아야겠어서 검색해보았다.


Cygwin
>>
일단 무료 오픈소스이다.
Cygwin은 레드햇에서 개발된 윈도우를 위한 유닉스 환경이다.
리눅스 프로그램이나 유틸리티를 MS윈도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리눅스 유닉스용 파일을 직접 실행시킬수는 없고, Cygwin용으로 소스를 포팅해야한다.

Cygwin은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하나는 DLL(cygwin1.dll)이며 이는 실질적인 유닉스 API의 기능을 제공하는 유닉스 에뮬레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유닉스로부터 포팅된 툴의 모음이다.
Cygwin DLL은 ix86의 모든 윈도우즈 버전(윈도우즈 CE제외)에서 잘 동작한다.

Cygwin은 리눅스처럼 보일 뿐이지, 결국은 어디까지나 윈도우용 프로그램이라는점이 한계라고 한다.
즉 리눅스용 프로그램을 cygwin에서 실행시키기위해선 소스를 그에 맞게 수정하고 컴파일해서 exe파일로 만들어야만 한다고 한다.



NS2
>>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이다 (Network Simulator version2)
유닉스 및 리눅스 환경에서 최적으로 구동된다.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에 모두 적용된다.
이벤트 기반 시뮬레이터로 적용 범위가 넓다.
유선 >> TCP, UDP, FTP, HTTP 등과 같은  TCP/IP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 멀티캐스팅 프로토콜,
          다양한 인터넷 프로토콜 (RTP:Real Time Protocol, SRN:Sclable Reliable Network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무선>> Ad Hoc 네트웤, WLAN, Mobile IP, UMTX, 위성 네트워크 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음~ 그렇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k  (0) 2010.08.17
.tcl 파일 읽기  (0) 2010.08.17